『배비장전』은 제주도가 배경인 판소리계 소설이다. 판소리 「배비장 타령」의 실전 판소리는 전해지지 않고 소설 『배비장전』에 의해 내용을 짐작해 볼 수 있다.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인 해학과 풍자가 잘 드러나 재미를 더해주고 있다.
1. 배경이 된 제주도 역사
조선 시대 제주도는 죄인을 귀향 보내는 곳으로 쓰였다. 제주도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고,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 죄인의 유배지로 알맞은 장소였기 때문이다. 제주도가 역사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삼국시대이다. 제주도는 탐라국으로 독립국이었다. 1105년 고려 숙종 10년에 탐라국은 독립국의 지위를 잃고 고려에 포함되었다. 이름은 탐라국이 아니라 탐라 군으로 바뀌었다. 고려의 한 지방이 된 것이다. 그렇지만 탐라의 왕은 계속 제주도를 다스렸다. 1274년에 원나라는 탐라를 직할지로 삼아 목장을 설치했다. 1294년 원나라는 탐라를 고려에 돌려주었다.
조선 시대에는 정부에서 지방관을 파견하여 제주도를 다스리게 하면서 완전히 조선의 지방이 되었다. 이후 제주도는 전라도에 속한 지역이었다가 1946년 하나의 자치도로 분리되었다. 제주도는 ‘출국금지령’으로 인해 육지로 나가 살 수가 없었다. 제주도 사람들은 기회가 닿으면 뭍으로 도망치려 했고, 관리들은 막기 급급했다. ‘출국금지령’이 풀린 것은 1850년 무렵이었다.
2. 조선의 행정 조직
중앙 행정 조직은 의정부와 6조의 체제로 편제되었다. 의정부는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이다. 6조는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이다. 이들 행정기관을 견제하는 기구로 홍문관, 사헌부, 사간원의 3사가 있다.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임시기구였던 비변사가 상설 기구가 되면서 문무 고위관리들의 함의 기관이 되어 군사는 물론 정치·외교 등 일반 정무까지도 처결하였다.
지방의 행정 조직으로는 8도에 부, 목, 군, 현을 두었다. 지방 각 고을에는 모두 중앙의 6조를 모방하여 이방, 호방, 예방, 병방, 형방, 공방의 6방을 두었다. 6방의 일은 토착 향리들이 맡았으나 일부 비장을 지방관으로 파견되어 가는 관리가 뽑아 갈 수 있었다. 육지의 경우 2명 정도 데리고 갈 수 있었으나 제주도에는 6방의 비장을 데리고 갈 수 있었다. 그러나 국가로부터 일정한 급료를 받지는 못했다.
배비장은 제주 목사로 파견된 김경의 비장으로 동행하게 되었다. 제주 목사 김경은 배 선달을 불러 육방 중 예방의 일을 맡겼다. 조선 시대에는 예의를 몸에 익히기 위해 관혼상제를 목숨보다 중요하게 생각했다. 유교에서는 예의는사람이 반드시 지켜야 할 도리라고 생각했다. 백성에게는 유교의 세 가지 가르침과 다섯 가지 실천 내용인 삼강오륜을 지킬 것을 강조했으며,배비장이 맡은 예방은 ‘예의범절’을 관장하는 부서인 것이다.
3. 비장과 제주 기생 애랑
배비장과 신임 목사 일행이 제주도에 도착했을 때, 제주 기생 애랑과 정비장의 이별 장면을 목격하게 된다. 정비장은 자신의 뱃짐을 풀어 애랑에게 주었다.
“갓의 둥글넓적하게 된 부분을 좀 굵게 만든 중량 한통, 갓의 둥글넓적하게 된 부분을 얇은 비단으로 만든 세량 한 통 …… 이하 생략.
발이 빠른 제주도 말 두 필, 은으로 장식한 은으로 장식한 안장과 금으로 장식한 채찍을 갖춘 대로 급히 풀어 내주고, 편지 종이 백 축, 붓 백 자루, 생강, 마늘, 겨자, 후추, 쑥갓, 부추 간장, 된장, 김치, 깍두기, 먹다 남은 과자까지…….”(생략)
소의 쓸개에서 나는 한약재인 우황열근, 인삼 열근, 여자의 머리숱이 많아 보이라고 덧대었던 딴머리 백개, 말 꼬리 백 근
노루 가죽 열 장, 사슴 가죽 다섯 장.
…….(생략)
발이 빠른 제주도 말 두 필,은으로 장식한 안장과 금으로 장식한 채찍을 갖춘 대로 급히 풀어서 내주고, 편지 종이 백 축, 붓 백 자루, 생강, 마늘, 겨자, 후추, 붗, 간장, 된장, 김치, 깍두기, 먹다 남은 과자까지 가진 것은 모두 내어 애랑의 집으로 보내게 하고 …….(생략)
이는 비장이 국가로부터 받는 녹봉이 없었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어디에서 어떻게 마련한 재물인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제주도에서 축적한 재물이 제주도 밖으로 빠져나갔을 때 제주도의 경제는 그만큼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제주 기생 애랑은 제주 도민으로서 제주도의 재물을 지키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결국, 정 비장은 홑바지 저고리까지 벗어 주어 알몸이 되었다. 이를 빼어 주고 나서야 배에 오를 수있었다. 이는 발치 설화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정 비장의 모습을 본 배비장은 빈정거리는 투로 “참으로 착실하지 못한 사내로다. 친척과 부모를 고향에 남겨 두고 천 리 밖에 내려와서 천한 기생에게 홀렸구나. 스스로 체면을 깎아내리다니 아랫사람 보기에 부끄럽구나.” 이 말을 들은 방자는 내기를 청하였다. 목사 또한, 배비장의 말을 듣고 애랑으로 하여 유혹하게 하였다.
애랑의 유혹에 넘어간 배비장은 애랑을 만나기 위해 "개가죽 두루마기에 노끈으로 만든 벙거지를 쓰고" 애랑을 찾았다, 방자는 배비장을 개구멍을 이용하여 애랑의 집에 들어 가게 했다. 배비장이 애랑의 방에 있을 때, 방자가 애랑의 남편인 척 큰 소리를 내었다. 배비장은 애랑의 남편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거문고 흉내를 내기도 하고, 업괘에 들어가 많은 사람들 앞에서 알몸으로 동헌 앞에서 헤엄쳐 나오는 행동을 하였다. 예의를 강조하여 인간의 욕망을 억압하는 것이 얼마나 허례허식인 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배비장은 그 길로 바로 한양으로 떠나려 했지만, 애랑의 꾀로 애랑을 다시 만나 즐거운시간을 보낸다. 그리고 제주 목사가 힘을 써 정의 현감이 되었다. 배 현감이 정의현에 부임한 후 백성을 잘 다스리고 바르게 정치하여 거리마다 배 현감의 어진 덕을 칭찬하는 비가 세워졌다. “정의 현감이 된 배 현감은 시비와 선악을 가림이 분명하여 어느 고을보다 살기가 좋았다.”
배비장과 정비장의 결말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독후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백꽃 (1) | 2024.02.09 |
---|---|
홍길동전 (1) | 2024.02.07 |
중국의 역사 네 가지 이야기 (1) | 2024.01.25 |
젊음의 땅을 포기한 사랑『바라 섬의 검은 말』 (0) | 2024.01.23 |
역사의 아침을 밝힌 고대 문명 이야기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