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 러셀 프리드먼 소개
러셀 프리드먼(1929~ ) 192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다. 1998년에는 아동 문학에 평생 기여한 공로로 로라 잉걸스 와일더 상을 받았다. 그의 작품으로는 몽고메리에서 발발한 흑인 인권을 다룬 『그들은 자유를 위해 버스를 타지 않았다』 , 어린이를 위해 쉽게 풀어쓴「동방견문록」『마르코 폴로의 모험』, 『대통령이 된 통나무집 소년 링컨』, 히틀러에게 저항한 학생들 이야기인 『우리는 침묵하지 않을 것이다』, 『1차 세계대전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등이 있었다. 또한 존 제임스, 러셀 프리드먼 공저로 『내 슬픔에 답해주세요』 가 있다.
『세상 밖으로 루이 브라유 이야기』는 점자를 만들어서 시각 장애인에게 지식의 문을 열어 준 루이 브라유의 생애와 업적을 다룬 이야기이다.
2. 루이 브라유는?
루이 브라유는 1809년 르랑스 남부쿠브레 마을에서 건강하게 태어났다.. 루이의 아버지 시몽 르네 부라유는 쿠브레 마을에서 말안장과 마구를 만드는 기술자였다. 루이는 아버지가 일하는 모습을 좋아했다. 어느 날 아버지가 잠깐 나간 사이 작업실에서 사고가 나 시력을 잃었다. 시각을 잃은 루이는 더듬거리며 지팡이 하나로 길을 찾아야 했다. 1814년 자크팔뤼 신부의 도움으로 일반 학교 들어갔다. 1819년 왕립 맹아학교에 입학했다. 신입생인 루이의 첫 수업은 왕립맹아학교 창립자 발랑탱 아위가 개발한 돋음 문자였다. 종이 뒷면에 튀어나온 부분을 손가락으로 만져서 ‘읽는’것이다. 루이는 돋음 문자책을 익는데 실망했다.
학생들은 읽기 힘든 돋음 문자책에 의존하는 대신 주로 듣고 기억해서 배웠다. 루이가 3학년이 되었을 때 바르비에가 왕립 맹아학교에 방문했고 바르비에가 발명한 스노그라파를 접하게 되었다. 학생들은 스노그라피를 실험해 좋았다. 학생들은 스노그라피에 실망했고 곧 사용하기를 포기했다.
루이는 바르비에 대위의 체계를 단순화해서 손으로 만지면 쉽게 ‘읽을’ 수 있는 부호로 만들고 싶었다. 1824년 루이가 교장 선생님에게 새로운 체계를 선보였을 때 교장 선생님은 감격해서 루이를 얼싸안고 칭찬했다. 루이가 점자체를 처음 보여 주었을 때가 열다섯 살이었다. 루이의 체계는 ‘브라유 셀’로 알려졌는데, 점 여섯 개(가로 2열, 세로 3행)로 구성된다.
1834년 루이가 스물다섯 살이 되었을 때 대중에게 새로운 점자체를 설명할 기회가 주어졌다. 1844년 브라유 점자체계를 공식직으로 인정했다. 1852년 1월 6일 루이는 마흔세 번째 생일이 지난 이틀 뒤 세상을 떠났다.
3. 생각해 볼까요?
· 학생들은 돋음 문자책이 있는데 왜 주로 듣고 기억해서 배웠을까요?
· 루이는 왜 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빛을 가져다주고 싶었을까요?
· 루이가 만든 알파벳은 왜 동료들에게 빠르게 퍼져 나갔을까요?
· 루이는 왜 감사하다는 인사를 받고 싶어 하지 않았을까요?
· 루이가 마지막에 ‘이 땅에서의 나의 소명을 이루었어’는 어떤 의미일까요?
5. 한글 점자 훈맹정음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점자는 미국인 선교사 ‘로제타셔우드 홀’ 여사가 들여온 ‘4 점식 점자’이다. 그런 이 점자는 한 칸에 점이 4개밖에 없어서 첫소리인 ‘초성’과 중간 소리인 모음 ‘중성’ 그리고 받침인 ‘종성’으로 나쥐는 한글을 표기하는데 문제점이 많았다.
맹아학교 교사였던 박두성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각 장애인들과 함께 ‘조선어 점자 연구 위원회’를 만들어 한글 표기에 알맞은 점자를 연구했다. 박두성은 브라유 점자 체계를 연구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한글 점자를 만들려고 했다. 7년간의 연구 끝에 1926년 , 마침내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인 ‘훈맹정음’을 만들었다. ‘눈먼 사람들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훈맹정음은 세로로 3개, 가로로 2개인 6개의 점이 모여 한 칸이 되는 구조이고, 한글의 원리와 같이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6개의 점 중에 어떤 점을 돌출시키는지에 따라 64개의 다른 점형이 생기게 되고 이 점형으로 글자를 읽는 것이다.( 한솔 주니어 플라톤 교사용 교재 참고)